스위치는 비슷한 스펙을 가지고 비교했을 때 라우터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속도도 라우터는 내부에서 처리하는 일이 많아서 패킷을 처리하는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습니다. 

스위치는 대부분 전원만 공급해주면 사용이 가능하지만 라우터는 프로토콜도 정해 주어야 하고 네트워크도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지금까지로 보면 스위치가 우세한데 라우터는 왜 쓸까요?


스위치로 풀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첫번째로는 브로드캐스트입니다. 

만약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전체가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이라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독일에 있는 PC가 켜졌다 꺼져도 이 브로드캐스트가 우리나라에 있는 제 PC까지 전달되게 됩니다. 

또 통신을 할 때 상대편의 맥 주소를 찾기 위해 ARP를 사용하는데 이게 바로 브로드캐스트입니다. 

전 세계 PC들이 하루에 어마어마하게 ARP를 사용하는데 이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PC 자체도 사용이 불가능해집니다. 

브로드캐스트는 CPU 성능도 저하시키기 때문이죠. 따라서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누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이러한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누기 위해서는 라우터가 꼭 필요합니다.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눌 때는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권고 사항은 

●IP : 약 500노드

●IPX : 약 300노드 

●Apple Talk : 약 200노드 정도가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여기 기준에서 약 반정도만 사용하셔야 제대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IP는 250 노드 정도겠죠?


또한 라우터는 스위치가 보장 못하는 보안 기능, 즉 패킷 필터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띠라서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전송을 막았다 풀었다하는 필터 기능을 제공해서 

불필요한 트래픽이 전송되는 것을 막습니다.


또 하나 라우터가 제공해주는 기능은 로드 분배입니다.

즉 여러 개의 경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여러 경로를 타고 날아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쪽 경로에 문제가 생겨도 바로 다른 경로를 타고 날아갈 수 있습니다.

물론 스위치도 로드 분배가 가능하지만 이것은 굉장히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스위치와 라우터를 적당히 사용해야 합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주소2  (0) 2016.02.11
IP주소  (0) 2016.02.11
루핑(Looping)/스패닝 트리 알고리즘(Spanning Tree Algorithm)  (0) 2016.02.09
브리지/스위치의 기능  (0) 2016.02.05
브리지  (0) 2016.02.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