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보통 쓰는 IP 주소는 이진수를 다시 십진수로 만들어서 쓰는 방식입니다.

IP 주소는 이진수 32자리로 되어있습니다. 


이를 그대로 사용하면 너무 어려우므로 좀 더 익숙한 십진수 방식으로 다시 고쳐서 사용하는 겁니다.

물론 컴퓨터는 이것을 이진수로만 이해하기 때문에 다시 이진수로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이진수 8자리마다 점을 찍는데 이들 8개를 묶어서 "옥테트(octet)"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IP 주소는 총 4개의 옥테트(octet)로 나누어지는 겁니다. 4개의 옥테트니까 32비트가 되는 겁니다. 






위의 그림처럼 조그만 네트워크를 꾸민다고 가정했을 때, 시스코 라우터 2501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1개이고 인터넷과 접속하기 위한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2개입니다.

그리고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DSU 또는 CSU라는 전용선 모뎀에 연결됩니다.

위와 같은 가정에서 우리가 라우터에 부여해야 하는 IP 주소는 두 개가 됩니다.

하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에 부여할 것하고 또 하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부여할 IP 주소입니다.

이더넷용 IP주소는 우리가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부여 받은 IP 주소 중 하나를 배정해야 합니다.

라우터의 이더넷쪽은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내부 PC용으로 부여 받은 주소가 203.120.150.1~203.120.150.255까지라면 라우터의 주소는 그 중 하나,

이럴 때는 보통 중요하기 때문에 맨 앞의 번호를 씁니다. 그래서 라우터의 주소는 203.120.150.1이 부여되는 겁니다.

이때 라우터에 부여한 주소는 또 다시 PC에 부여하면 안 됩니다. 이건 모든 PC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시리얼 주소는 우리 마음대로 부여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라우터가 접속하는 상대편(ISP 업체)라우터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와 IP 주소를 서로 맞추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일단은 내부용 IP주소와는 다른 네트워크가 됩니다.  



정리하자면,


우리가 보통 쓰는 라우터에 배정해야 하는 IP 주소는 두 개인데 하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 용이고

또 하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용입니다.(물론 이건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더넷용은 우리가 부여받은 번호 중에 하나를 쓰는 거고, 시리얼은 우리가 접속하는 ISP 업체에 따라 다르므로

이너넷 제공업체에 문의해서 써야 됩니다.



다음 글에서 IP 주소에 대해 이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3  (0) 2016.02.11
IP주소2  (0) 2016.02.11
라우팅과 스위칭의 비교  (0) 2016.02.09
루핑(Looping)/스패닝 트리 알고리즘(Spanning Tree Algorithm)  (0) 2016.02.09
브리지/스위치의 기능  (0) 2016.02.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