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에서 자주 사용하는 언어인 캐스트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는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는 방식에 따른 구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각각 캐스트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니캐스트
Unicast[유니 캐스트]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대일 통신방법입니다.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맥주소를 프레임에 포함시켜 보내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그 맥주소를 찾아 통신하게 되고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노드들은 자신의 맥주소가 아닌 경우엔 패킷이 CPU까지 전송되지 않고 LAN카드에서 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CPU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원하는 노드랑 통신이 가능한 방식입니다.
원하는 곳에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하나의 송신부에서 여러 개의 수신부로 데이터를 보낼 때는 여러 개의 수신부와 일일이 연결해서 보내야 해서 수신부의 대수가 늘어나는 경우 송신 기기에 부담이 생기는 단점이 있습니다.
|브로드 캐스트
Broadcast[브로드 캐스트]는 송신부에서 데이터를 보낼 때, 특정 수신부에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해당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기기에게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데이터를 보낼 때, 수신부의 주소를 “FF-FF-FF-FF-FF-FF” MAC ADDRESS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보낸 데이터는 데이터를 받는 수신 기기에서 해당 데이터가 본인에게 필요한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처리를 하게 됩니다.
수신부의 주소를 몰라도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가 필요 없는 네트워크 기기조차 모두 불필요한 데이터를 받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고 전체 네트워크의 데이터 양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습니다. 유니캐스트 와는 다르게 무조건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CPU까지 패킷이 올라가게 되고 컴퓨터 자체에 부담이 증가하게 됩니다.
|멀티 캐스트
Multicast[멀티캐스트]는 하나의 송신부에서 한번에 지정된 복수개의 수신부 기기에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멀티캐스트를 사용하면, 복수개의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송신부에서 일일이 보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집니다.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받을 수신부 기기는 멀티캐스트 그룹 IP에 가입하고, 송신부 기기는 해당 그룹 IP에 데이터를 한번 보내게 됩니다.
멀티캐스트를 사용하려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라우터나 스위치가 멀티캐스트기능을 지원해야 합니다. 멀티캐스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우선 확인해야 합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개념 (0) | 2016.01.11 |
---|---|
소프트웨어(software) (0) | 2016.01.10 |
맥 어드레스 (MAC Address) (0) | 2016.01.07 |
UTP케이블 (0) | 2016.01.05 |
네트워크란 (0) | 2016.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