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실행코드(프로그램)가 메모리에 로딩되어 활성화 된 것

ex) Firefox는 하드디스크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음. 이렇게 하드에 저장된 파일을 '프로그램'이라고 함 

    Firefox를 실행해서 화면에 나타난 상태(메모리에 로딩된 상태)를 '프로세스'라고 부름

 

실습) 포그라운드 프로세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살펴보자. 

root : 프로세스의 소유주 ,  3468: 프로세스 번호 ,  3109: 부모 프로세스 번호

yes > /dev/null 명령을 입력해 무한 루프를 도는 단순한 프로세스를 생성함.

(yes명령은 단순히 yes라는 글자를 화면에 무한 출력한다. /dev/null(=아무 반응도 하지 않는) 은 아무것도 아닌 장치를 말함.)

ps -ef | grep yes명령으로 프로세스를 확인함. 

kill -9 프로세스번호 명령을 입력해 프로세스를 종료함.

(현재 작동 중인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를 그냥 종료하려면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는 터미널에서 Ctril+c를 눌러도 됨.)

 

2

yes > /dev/null 명령을 입력해서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생성함 

Ctrl+z로 일시중지 시키고, bg명령을 입력해서 잠시 중지된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계속 실행시킴 

jobs명령을 입력하면 현재 백그라운드로 가동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음. (제일 앞에 나오는 것은 작업번호)

fg 작업번호를 입력하면 다시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생성함 

Ctrl +c를 입력하여 종료함

 

3.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이론  (0) 2020.09.29
리눅스 7장 수업실습  (0) 2020.09.28
RPM  (0) 2020.09.22
Linux 파일 압축 및 풀기  (0) 2020.09.22
리눅스) 특정 초만큼 지연시키기, fflush(stdout), usleep 사용  (1) 2020.09.21

+ Recent posts